이 영화는 ‘지난해 개봉한 영화 중 최고’라는 추천을 듣고 보러 갔습니다.
드라마틱한 내용이 없는 잔잔한 드라마인 것은 알지만, 올해 오스카 시상식에서 여러 부문 후보에 올랐기 때문에 궁금했다.
어린 시절 동네 친구이자 약간의 연애 관계였던 기억이 납니다.
함께 살던 해성과 나영은 나영 가족의 갑작스러운 이주로 헤어지게 된다.
밤새 학교를 마치고 집에 오는 길에 늘 함께 하던 친구를 잃은 슬픔은 어렸을 때 전학을 갔던 기억을 떠올리면 충분히 공감할 수 있는 일이다.
한국과 캐나다에서 학창시절을 보내던 해성은 소꿉친구 나영을 만나고, 12년 만에 처음으로 연락한다.
두 사람은 기쁨과 새로운 설렘으로 가득 찬 행복한 나날을 보낸다.
그들은 서로에게 “뉴욕으로 오라, 서울로 오라”고 말하면서 그녀는 멀리 떨어져 있는 그리움을 하소연한다.
나영이 해성에게 잠시 연락을 끊자고 제안하는 장면에서는 낯선 뉴욕에서 공부와 일에 집중해야 하는 현실과 감정 속에 존재하는 한국에 살고 있는 해성에 대해 이야기한다.
갈등은 혼란스러웠을 것입니다.
그리고 두 사람은 각자의 꿈과 목표를 향해 몇 년간 충실하게 살았고, 그 사이 나영은 작가인 아서를 만나 별 망설임 없이 결혼하게 된다.
12년 만에 해성은 나영에게 다시 연락을 하고 그녀를 만나러 뉴욕으로 온다.
이미 결혼한 그녀를 알기에, 그녀를 만나러 뉴욕에 온 해성이 어떤 기분일지 궁금했다.
오랫동안 잊지 못한 어린 시절의 추억. 단지 마음을 같이한 친구를 보고 싶어서 오는 것인지, 아니면 완전히 만나러 오는 것인지, 마음이 조금 복잡할 수도 있겠다는 기대를 품고 두 사람의 태도와 표정을 지켜보는 재미가 쏠쏠했다.
아직도 잊을 수 없는 감정을 정리해보세요. 사실 한국어가 영어보다 더 좋아요. 경험이 부족한 배우를 기용했다는 점이 나영 캐릭터를 표현하기에 딱이었던 것 같아요. 어떻게 보면 연기를 잘 못하는 배우인데… 한국어 대사가 이상할 정도로 어색했지만, 오랫동안 영어를 해온 누군가의 흐릿한 한국식 사투리 등 몸에서 뿜어져 나오는 이국적인 분위기 그리고 그녀의 옷 취향은 주인공 나영의 모습을 잘 표현한 것 같았다.
또한 그녀는 가족과 함께 한국에서 살았고 대학 친구들도 있었습니다.
술자리에도 어색함 없이 자연스러운 젊은 한국인의 모습을 갖고 있던 해성이 20년 만에 뉴욕에서 나영을 만났는데 표정이나 목소리 톤이 어색한 점도 공감했다.
나영과의 공백기가 길었다는 뜻이지만 점차 자연스러워졌다.
나영은 미국인 남편 아더에게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한국인이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용하는 단어이자 일상적인 개념인 ‘관계’는 서양인들에게는 신선하거나 심오하게 들릴 수도 있다.
그러나 나이가 들수록, 그 과정에서 수많은 만남과 이별을 겪게 되면 잠시 멈춰서 ‘관계’에 대해 생각하게 될 때가 있습니다.
수많은 사람들 가운데 특별한 감정을 공유하는 관계나 남들보다 오래 지속되는 관계에는 인간의 의지를 초월하는 힘이 분명히 작용하고 있다.
해보자는 생각입니다.
그리고 그러한 특별한 관계를 주의 깊게 관찰하고 싶은 욕구. 그리고 이제 뉴욕에서 끝날 것 같은 해성과의 인연을 이야기하며, 두 사람이 전생에 어떤 인연을 맺었을지 흥미로운 상상을 하게 된다.
만약… 해성과 나영은 아들과 함께 심야 술집에 있었다.
나영이가 이민을 하지 않고 한국에 머물렀다면 어떻게 됐을까? 그들은 데이트하고 결혼했을까요? 등등. 나영은 ‘어렸을 때의 나영이 여기 없다.
하지만 그것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는 뜻은 아니다.
’ 과거 나영이 아닌 현재의 미국 이름 ‘노라’에 나영의 존재를 각인시키는 발언처럼 들렸다.
간단히 말해서 어린 시절 해성을 좋아했던 나영은 과거이자 아더의 아내 노라이다.
지금 해성 앞에 나영이 앉아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철학적인 이야기는 물론, 아내와 첫사랑, 그리고 오직 그들만이 공유하는 어린 시절의 추억에 접근할 수 없는 흐름 속에서 아더가 느끼는 소외감도 감동적이다.
외로운 이야기였습니다.
술집에서 돌아와 공항으로 가기 위해 택시를 부르는 해성과, 그를 배웅하러 나간 나영은 잠시 서로를 바라본다.
두 사람의 감정이 마주한 그 장면에서 전해지는 것 같았다.
영원한 이별 앞에서 무슨 말을 해야 할지, 떠나는 사람과 떠나는 사람에게 작별 인사를 해야 할지 막막해 보였습니다.
그들은 서로 껴안고 혼자 집으로 걸어갔습니다.
나영의 모습에서는 온 힘을 다해 눈물을 참는 모습이 보였다.
결국, 기다리던 남편의 품에 안겨 눈물을 참으며 크게 울부짖는 마지막 장면은 여운을 남겼다.
감독의 개인적인 경험을 모티브로 삼은 영화. 그래서인지 내용이 화려하거나 극적이지 않고 사실적이어서 마음에 들었습니다.
잔잔한 감정 표현이 마음에 들었고, 특히 장면이 마음에 들었어요. 가수 장기하를 비롯한 해성의 친구들이 술을 마시는 장면에서도 캐릭터의 클로즈업 샷과 뉴욕 호텔방이 마음에 들었습니다.
영화 속 해성이 혼자 앉아 있는 등 뉴욕의 장면도 마음에 들었다.
전생과 연결되어 현생으로 이어지는 ‘운명’. 지금 내 옆에 있는 사람들과의 관계를 되돌아보게 해주는 좋은 영화였습니다.
#전생 #관계 전생 #첫사랑